티스토리 뷰

Got

행동주의 이론

whyuus 2022. 8. 24. 00:49


행동주의 이론

1) 고전적 조건형성
Pavlov, Skinner, Bandura 및 Sears 등은 행동주의이론을 통해
인간의 행동 현상과 발달을 설명

(1) Pavlov의 고전적 조건형성 과정
- 러시아의 생리학자 Pavlov는 개의 위액이나 타액 등 소화관에 관한 생리학 연구를 하던 중에 고전적 조건형성 또는 반응적 조건형성의 현상을 발견


(2) 고전적 조건형성의 실제
- 일정한 자극에 의해 선천적으로 유발되는 반사를 처음에는 그것과 아무런 관계가 없던 중립자극과 연합시킴으로써 이 중립자극이 선천적인 반사반응을 유발하게 되는 것

2) Skinner의 조작적 조건형성
(1) 조작적 조건형성의 의의
- 인간의 행동 중에는 반응적 행동도 있지만, 일상생활 중에는 행동 후 결과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조작적행동이 더 많음
- Skinner를 비롯한 일부 학습이론가들은 반사적 반응이 아닌 유기체 스스로가 조작하는 행동으로 이루어지는 조건형성을 연구

(2) 조작적 조건형성의 실제
- '조작적'이라는 것은 그 사람이 환경에 대해 스스로 의지를 작용함을 말함. 이러한 이론은 행동형성조건을 이해할 뿐 아니라 문제행동을 수정하는 데도 크게 기여
Ex)유치원 선생님 원아 접근법

→ 스키너는 대부분의 인간행동이 내적 충동보다 외적 자극에 의해 동기화된다고 보고, 인간행동이 보상과 처벌에 의해 유지된다고 봄

3)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
Bandura나 Sears 등은 사회적 상황에서 타인들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그러한 행동을 본받는 학습이 이루어진다고 주장


Bandura는 인간의 학습과정은 타인의 행동을 관찰하고 이를 모방함으로써 새로운 행동을 학습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데 이를 사회학습이론이라고 함

4) 시어즈의 학습이론
Sears는 발달이란 제 조건의 지속적이고 질서있는 연쇄로 간주될수 있는데, 이를 통하여 행동이 일어나고, 행동에 대한 새로운 동기가 생기며, 결과적으로 행동의 양상이 비롯되는 것으로 봄


Sears는 발달단계를 세 가지로 나누어 설명

첫째, 초보행위단계로서, 이것은 유아기의 생래적 욕구와 학습을 바탕으로 하게 됨
둘째, 가족 중심의 학습에 기반을 둔 이차적 동기체계의 단계
셋째, 가족 외부에서의 학습에 기반을 둔 이차적 동기체계의 단계

<아동발달의 쟁점에 따른 아동발달이론 요약>

"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,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."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6   »
1 2 3 4 5 6 7
8 9 10 11 12 13 14
15 16 17 18 19 20 21
22 23 24 25 26 27 28
29 30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