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1) 정의:

◦ 산도란 알칼리도를 중화시킬 수 있는 능력을 말하며, pH 8.3 이하에

서 존재.

 일정량의 시료를 강알칼리의 표준액으로 어떤 일정한 pH까지 적정할

때 필요한 알칼리의 당량수를 의미.

2) 중요성

◦ 인체와 관련된 문제는 없으나 부식성이 문제이므로 제거해야 함.

 폭기 (aeration)나 소석회(Ca(OH)2

) 또는 석회소다(NaOH)로 중화

◦ 생물학적처리 시 pH 6 ~ 9.5사이를 유지해야 함.

◦ 산성비로 pH 저하: 수생생물 악영향, Al이 지표수로 용출됨.

6

3) 발생원

① 무기산도 (pH 4이하)

a. 산업폐수: 금속가공공장의 폐수, 유기물질 생산공장의 폐수

b. 자연수:

 폐광, 함량이 낮은 원광이 버려진 더미를 통해 흘러나온 물에 황이나 황화

물, 황철광 등이 존재할 경우. (황산화박테리아의 작용)

 2S+3O2+2H2O→ 4H++2SO4

-2, FeS2+3.5O2+H2O→Fe+2+ 2H++2SO4

-2

 3가 금속이온들이 물속에서 가수분해 될 때

 FeCl3 + 3 H2O ⇄ Fe(OH)3 + 3H+ + 3Cl7

② CO2산도 (pH 4이상)

a. 대기중 CO2가 물 속으로 용해b. 오염된 물속의 유기물의 생물학적인 산화에 의해 생성

c. 지하수와 성층화된 호수 및 저수지의 심수층

 박테리아에 의해 물속의 유기물이 산화•분해되어 생성된 CO2가

대기중으로 방출되지 못해 발생.

4) 측정법

◦ 무기산도: M.O지시약 사용 → M.O산도라고 함

◦ CO2산도(P산도): pH 8.3까지 적정하여 (무기산도+약산)에 의한

산도 측정 → 총산도라고 함.

밥상에서는 산성 식품 위주의 식단이 주를 이루는데, 산성 식품 위주의 식단을 지속적으로 섭취하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있다. 우리몸의 산도 균형을 위한 식단은 알칼리성 식품 70%, 산성 식품 30% 라고 한다

"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,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."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7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 31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