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데이터통신 (3장) 다중화 기법과 교환기술 / FDMA TDMA STDMA CDMA / 다중화 기법
다중화기법이란?
교환기술의 개념과 필요성, 대표적3가지 교환기법
01)다중화기법
Q)다중화기법이란? 데이터링크의 효율성(가장큰이유)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다수의 디바이스가 단일 데이터링크를 공유하여 전송하는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기법이다. [일반적으로 다수의 장치로부터 나오는 데이터신호들이 하나의 전송링크를 통하여 전송될수 있도록 하는 다중화 과정과, 링크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출력 디바이스에 일치시키는 역다중화과정을 포함한다]
Q)다중화기법의 종류와 장단점
FDMA(주파수분할 다중화) Frequency ( Division Multiple Access )
: 데이터링크(채널)의 주파수 대역폭을 몇 개의 작은 주파수 대역으로 나눠 각각 부채널로 재구성 후 각 부채널을 여러 개의 디바이스에 할당함으로써 각 디바이스로부터 나오는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는 방식. (변조(진폭,주파수,위상 변조)하여 전송후 복조를 통하여 본래의 신호로 복원) (케이블TV에 사용)
장점: 간단한 구조로 구현되므로 가격이 저렴하고 별도의 변, 복조기가 불필요하다.
단점: 대역폭 낭비로 인한 채널의 이용률이 저하.
TDMA((동기식)시분할 다중화) Time ( Division Multiple Access )
:채널에 할당된 데이터 전송 허용시간을 일정한 시간슬롯으로 나누고, 채널도 다시 부채널로 나누어 각 시간 슬롯을 부채널에 순차적으로 할당하여 사용하는 방식
장점: 간단한 구조로 구현되므로 가격이 저렴하고 데이터 전송률 조절 가능
단점: 시간슬롯의 낭비
STDMA(통계적 시분할 다중화) Statistical ( Division Multiple Access )
:동기식 시분할 다중화(TDMA)의 단점을 보완한 기술로서, 동적으로 대역폭을 각각의 부채널에 할당한다.
동기식 시분할 다중화(TDMA)는 시간슬롯을 각 부채널에 무조건 할당하는 반면
통계적 시분할 다중화(STDMA)는 시간슬롯을 데이터 전송을 하고자 하는 부채널에만 동적으로 할당한다. (80p 그림3-4 그림비교)
장점: 대역폭 낭비 최소화
단점: 회로가 복잡해지고 비용이 증가
CDMA(코드분할 다중화) Code ( Division Multiple Access )
하나의 채널로 한 번에 한 통화밖에 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는 아날로그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디지털 방식 휴대폰의 한 방식
시간과 주파수를 모두 이용을 하되 특별한 Code로 서로를 구분하여 사용
통화품질이 좋고 통신 비밀이 보장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고속 데이터 전송이 힘든 단점도 있다.
'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신호 전송과 전송모드 / 전송미디어와 전송특성 (0) | 2023.02.05 |
---|---|
카시스 프라페 Cassis Frappe - 셰이킹(Shaking) (0) | 2023.02.04 |
경어법 (0) | 2023.02.03 |
데이터통신 교환기술 / 회선교환방식 / 메시지교환방식 / 패킷교환방식 (0) | 2023.02.03 |
데이터통신 애드혹 네트워크 / ad hoc network / 차세대 네트워크 (0) | 2023.02.02 |